본문 바로가기

안기지마 무서워

Don't Hug Me I'm Scared 6 (안기지마 무서워) - 6편 어느 침실에서 매니가 슬퍼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매니는 자신의 사진첩을 보면서 자신의 친구들에게 작별인사를 하면서 전등을 끄고 잠에든다.하지만 전등이 다시 깨어나서 가르침을 받기를 저항하는 매니를 꿈을 어떻게 꾸는지 끌고간다.[1]전등은 꿈이란 네가 네 침대에서 잘 때 네 머리에서 상영되는 영화와 같은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전등은 매니에게 말을 타는 꿈이나 오일속에서 익사하는 꿈도 꿀 수 있다고 한다. 그러는 동안 매니는 전등에게 계속 저항하다가 오일속에서 익사한다(...)라는 꿈에서 깨어난다.하지만 전등이 다시 깨어나서 매니가 악몽을 꾼 것 같다면서 오일속으로 넣어서 익사한다....라는 헨리의 꿈이었으며 헨리는 어느 회사에서 일어난다. 헨리는 상사에게 이 파일들이 살아나면 재미있지 않겠냐고 물으면서 .. 더보기
Don't Hug Me I'm Scared 5 (안기지마 무서워) - 5편 어느 식탁에서 로빈과 매니가 앉아있는 것으로 시작한다.로빈과 매니는 누군가 사라졌다는 것에대해 이상함을 느끼고, 그 사라진 사람을 찾다가 빵 소년을 찾게된다.빵 소년은 땅콩 캔과 딸기 잼 캔을 숟가락으로 두드리면서 락앤롤을 하고 있었고, 곧 서랍장에서 시금치 통조림이 등장하면서 2명에게 배고프냐고 묻는다. 매니가 아니라고 말하면서 부정당하자, 시금치 통조림은 많은 사람들은 배고파한다고 말하면서 무시한다.또한 왼쪽 방에서 갑자기 스테이크가 나오면서 배고픔은 네 몸에서 나온다고 로빈을 포크로 꾹꾹찌른다. 로빈은 꺼지라고 저항하지만, 스테이크는 네몸은 건강해져야한다고 여전히 포크로 찌른다.시금치 통조림은 케이크를 보고 "이와 같은 맛있는 간식을 먹고 싶지는 않겠지!" 라고 말하고, 스테이크는 로이의 플레이크를.. 더보기
Don't Hug Me I'm Scared 4 (안기지마 무서워) - 4편 어느 한 거실에 3인방이 카드놀이를 하면서 앉아있는 것으로 시작한다. 헨리는 카드를 뽑고, 카드의 질문이 "가장 큰 것은 무엇인가" 라는 것을 알게된다. 3인방은 카드의 정답을 알기위해 토론하지만 그래도 정답이 안나오자 헨리와 로빈은 자신에게 이 답을 가르쳐줄 사람을 찾으면서 지구본을 쳐다본다. 지구본이 곧 길버트로 변하면서 곧 정답을 가르쳐줄 것처럼 굴지만 갑자기 뒤에서 컴퓨터 콜린이 나타나서 그들의 시선을 끈다. 콜린은 자신은 컴퓨터적인 컴퓨터이며 자신이 버튼과 전선으로 만들어졌다고 설명한다. 또한 자신의 디지털 생각속에 있는 자신의 디지털 삶 스타일을 보여주고 싶다고 한다. 헨리는 콜린의 말을 듣고, 콜린이 자신들의 질문을 도와줄 수 있을 것 같아보여서 자신이 뽑은 카드의 질문을 콜린에게 하려고하지.. 더보기
Don't Hug Me I'm Scared 3 (안기지마 무서워) - 3편 해당 에피소드는 종교(특히 기독교)에 대한 비판이라는 해석이 많다. 영상 후반부 사랑의 왕이라고 언급되는 말콤이 등장하는데, 동시에 다른 등장인물들의 옷이 주교복과 비슷한 옷으로 바뀌며, “우리의 왕이시여” 라며 찬양한다. 또한 이름을 바꾸고 뇌를 씻으라는 내용도 나오는데, 이름을 바꾸는 것은 세례명을 의미하며 뇌를 씻는 것은 기독교적 믿음의 강요로 해석하기도 한다. 추가로 마지막에 달걀을 깨고 나오는 나비를 닮은 벌레는 예수의 부활을 의미한다는 해석도 있다. 주된 비판거리는 기독교가 특정한 사랑만을 인정한다는 것. 매니가 나무도 사랑하고 나뭇가지도 사랑한다고 하자 나비는 그런식으로 하는 게 아니라며 사랑하는 방법을 가르쳐준다고 하는데, 나비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모든 사랑은 남자와 여자가 만나 순수.. 더보기
Don't Hug Me I'm Scared 2 (안기지마 무서워) - 2편 처음에 토니는 미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게 미래라면서 미래 얘기를 하는데, 이것은 시간에 대한 정보의 모순을 뜻한다.시간의 존재에 대한 의구심이 생기자 토니는 굉음을 내며 말을 끊는데, 이는 시간이 진실로 없으면 시계도 존재이유가 없기 때문에 살기 위한 발악으로 추정된다,중간에 로빈이 우리는 깨끗한데 왜 씻어야하냐고 묻자 토니는 이를 무시하는데, 이는 시간표의 모순을 뜻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