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Don't Hug Me I'm Scared 4 (안기지마 무서워) - 4편 어느 한 거실에 3인방이 카드놀이를 하면서 앉아있는 것으로 시작한다. 헨리는 카드를 뽑고, 카드의 질문이 "가장 큰 것은 무엇인가" 라는 것을 알게된다. 3인방은 카드의 정답을 알기위해 토론하지만 그래도 정답이 안나오자 헨리와 로빈은 자신에게 이 답을 가르쳐줄 사람을 찾으면서 지구본을 쳐다본다. 지구본이 곧 길버트로 변하면서 곧 정답을 가르쳐줄 것처럼 굴지만 갑자기 뒤에서 컴퓨터 콜린이 나타나서 그들의 시선을 끈다. 콜린은 자신은 컴퓨터적인 컴퓨터이며 자신이 버튼과 전선으로 만들어졌다고 설명한다. 또한 자신의 디지털 생각속에 있는 자신의 디지털 삶 스타일을 보여주고 싶다고 한다. 헨리는 콜린의 말을 듣고, 콜린이 자신들의 질문을 도와줄 수 있을 것 같아보여서 자신이 뽑은 카드의 질문을 콜린에게 하려고하지.. 더보기 Don't Hug Me I'm Scared 3 (안기지마 무서워) - 3편 해당 에피소드는 종교(특히 기독교)에 대한 비판이라는 해석이 많다. 영상 후반부 사랑의 왕이라고 언급되는 말콤이 등장하는데, 동시에 다른 등장인물들의 옷이 주교복과 비슷한 옷으로 바뀌며, “우리의 왕이시여” 라며 찬양한다. 또한 이름을 바꾸고 뇌를 씻으라는 내용도 나오는데, 이름을 바꾸는 것은 세례명을 의미하며 뇌를 씻는 것은 기독교적 믿음의 강요로 해석하기도 한다. 추가로 마지막에 달걀을 깨고 나오는 나비를 닮은 벌레는 예수의 부활을 의미한다는 해석도 있다. 주된 비판거리는 기독교가 특정한 사랑만을 인정한다는 것. 매니가 나무도 사랑하고 나뭇가지도 사랑한다고 하자 나비는 그런식으로 하는 게 아니라며 사랑하는 방법을 가르쳐준다고 하는데, 나비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모든 사랑은 남자와 여자가 만나 순수.. 더보기 Don't Hug Me I'm Scared 2 (안기지마 무서워) - 2편 처음에 토니는 미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게 미래라면서 미래 얘기를 하는데, 이것은 시간에 대한 정보의 모순을 뜻한다.시간의 존재에 대한 의구심이 생기자 토니는 굉음을 내며 말을 끊는데, 이는 시간이 진실로 없으면 시계도 존재이유가 없기 때문에 살기 위한 발악으로 추정된다,중간에 로빈이 우리는 깨끗한데 왜 씻어야하냐고 묻자 토니는 이를 무시하는데, 이는 시간표의 모순을 뜻한다, 더보기 이전 1 다음